반응형
1. Domain 은 DAS와 MS로 구성
2. Node manager
- Domain 내에서 사용되는 노드 매니저 이름은 유일 해야한다.
- 설치한 하는의 JEUS 내에서는 하나의 노드 매니저만 존재한다.
- 노드매니저의 주요 목적은 하나의 노드에서 동작하는 서버프로세스를 관리[관리툴을 통해 실행-중지, Patch 파일 적용 ] -> 노드매니저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 서버를 기동하려는 원격 머신에 접속해서 스크립트를 통해 서버를 기동해야한다. 하지만 노드매너지를 사용한다면 원격 머신에 있는 서버도 DAS에서 간단한 명령으로 기동할 수 있다.
- 노드 매니저는 부가적인 기능이므로 사용하지 않더라도 서비스하는데 아무런 영향을 주지 않는다.
3. DAS 기동명령어
startDomainAdminServer -domain DOMAIN_NAME -server adminServer -u XXXX -p XXXXX
4. Node Manager 기동명령어
nohup startNodeManager > /WAS/JEUS/jeus8/nodemanager/logs/nm.log &
1. web console에서 추가 가능
2. 서버에 접속해서 생성 및 수정 가능 /WAS/JEUS/jeus8/domains
<?xml version="1.0" encoding="UTF-8" standalone="yes"?>
<nodes xmlns="http://www.tmaxsoft.com/xml/ns/jeus">
<node>
<name>NAME_XXX</name>
<host>192.xx.xx.xxx</host>
<java>
<port>XXXX</port>
<use-ssl>false</use-ssl>
</java>
</node>
</nodes>
5. MS 기동명령어
-> 명령어도 있지만, node manager 실행 후, Web console에서 진행
반응형
'Midleware > WAS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WEBLOGIC] 메뉴얼 (0) | 2023.06.23 |
---|---|
[WEBLOGIC] java 32bit 기동시, heap memory 크기 설정 (0) | 2023.04.19 |
[WILDFLY] version, boot, port 확인 (0) | 2022.07.20 |
[JAVA] Perm 영역, OUTOFMEMORY (0) | 2022.07.11 |
[JAVA] Java7,8 JVM 구조, JVM 옵션 설정 (0) | 2022.07.04 |